1. 서론
2. 기존연구 요약
3. 표본구성과 연구방법
3.1 표본
3.1.1 표본의 구성
(1) 신주인수권증권 상장일과 상장폐지일이 2009년 1월부터 2016년 12월 말 기간 안에 포함된다.
(2) 신주인수권증권 가격 및 거래량 자료가 한국거래소부터 구입이 가능하다.
(3) 신주인수권증권 일별 거래량이 100개 이상인 거래일이 100일 이상이다.9)
(4) 주가 자료가 존재한다.
Korean J Financ Stud > Volume 51(3); 2022 > Article |
|
(1) 신주인수권증권 상장일과 상장폐지일이 2009년 1월부터 2016년 12월 말 기간 안에 포함된다.
(2) 신주인수권증권 가격 및 거래량 자료가 한국거래소부터 구입이 가능하다.
(3) 신주인수권증권 일별 거래량이 100개 이상인 거래일이 100일 이상이다.9)
(4) 주가 자료가 존재한다.
1) Yoon(2021)은 기존의 연구와 달리, 10억 원 이하의 소액공모를 제외하고 또한 공시시간을 정확히 확인하여 장후에 공시되면 익일을 공시일로 변경하였다.
2) 한국거래소는 신주인수권증권과 신주인수권증서를 각각 영어로 subscription warrant와 subscription right certificate로 표기한다. subscription warrant는 원래 주식과 채권에 첨가되어 발행되는 권리로 발행기업의 보통주를 매입할 수 있는 신주인수권을 의미한다. 따라서 subscription warrant는 주식에 첨가된 신주인수권을 의미하기도 하고 채권에 첨가된 신주인수권을 의미하기도 하는데 이런 구분은 국가별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subscription warrant가 일본과 미국에서는 주주에게 부여된 신주 인수권을 의미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BW채권자에게 부여된 신주인수권을 의미한다.
4) Yoon(2019b)의 <그림 1>에 의하면 평균적으로 신주인수권증서 상장일 기준 14일(달력일) 이후에 최종발행가격이 결정되고 신주인수권증서가 5거래일 동안 거래되므로 대략적으로 신주인수권증서 상장폐지 후 1주일 후에 최종발행가격이 결정된다.
5) 수정BS가격은 무배당 주식에 대한 블랙-숄즈의 콜옵션 가격에 (총발행주식수/(행사가능주식수+ 총발행주식수))를 곱한 가격을 말한다. 윤평식, 박경욱, 김철중, 선물옵션 투자의 이론과 전략, 7판, pp. 316-317.
6) 참고로 신주인수권증서 상장일에 주식의 초과수익률은 -1.02%(t-value=-3.51)이다(Yoon, 2019b).
8) 대부분의 신주인수권부사채와 전환사채는 리픽싱옵션이 포함되어 발행된다. 리픽싱옵션(또는 리픽싱 조항)은 발행 후 주가가 하락하면 행사가격을 최초행사가격의 70%까지 하향조정하는 옵션이다. 정관에 명시된 경우 액면가까지 하향조정이 가능하며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조정되지 않는다.
9) 일별거래량 절사(cutoff) 기준인 100개는 0을 제외한 거래량의 0.4퍼센타일에 해당되는 값으로 표본수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주관적으로 선택되었으며, 100개 이상인 거래일이 100일 이상으로 제한한 결과 4건의 신주인수권증권이 제외되었다.
12) 장기성과의 측정은 Yoon(2016)의 방법론을 사용한다.
13)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은 Yoon and Lim(2018)에서 인용함.
15) 공모BW 발행 공시일 전후의 공매도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공매도가 공시일 이후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비사건기간으로 공모BW 발행 공시일 전 -150일부터 -21일까지를 선택한다.
22) 가정 1에서의 신주인수권증권 일별수익률의 평균은 0.19%(중앙값은 0.00%)이고 수익률이 양수/ 영(0)/음수인 비율은 각각 38%, 18%, 44%이다. 가정 2에서의 일별수익률 평균은 -0.16%이고 수익률이 양수/영/음수인 비율은 각각 34%, 25%, 41%이다. 참고로 동일기간의 주식수익률 평균은 -0.04%이다.
24) Hauser and Lauterbach(1997)이 고려한 수정BS모형에서 희석효과를 반영하는 방식이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모형의 희석효과 반영 방식과 다르지만 큰 차이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Hull의 방식을 따르기로 한다(각주 5 참조).
25) warrant_ratio와 sigma의 경우 다음과 같은 수학적 예측도 가능하다. warrant_ratio는 희석효과를 반영하므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수정BS가격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종속변수는 커지게 되므로 양의 부호가 예측된다. sigma의 경우 변동성이 크면 수정BS가격이 증가하므로 종속변수가 감소하여 음의 부호가 예측된다.
An Empirical Study on Predictability of Return Dispersion2016 ;45(2)
An Empirical Study on Stock Price Responses of Qualified Audit Opinions2001 ;29(1)
A Study on the Bond Trading Management of Securities Companies1999 ;24(1)